허영호 (정치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허영호는 일제강점기와 광복 이후 활동한 인물로, 독립운동 참여와 친일 행적, 그리고 납북으로 굴곡진 삶을 살았다. 그는 3·1 운동에 참여하여 투옥되었으며, 이후 일본 유학을 마치고 돌아와 신간회 활동을 했다. 중일전쟁 발발 이후 친일로 전향하여 침략 전쟁을 옹호했으며, 해방 후 혜화전문학교 교장과 동국대학교 학장을 역임했다. 1949년 제헌 국회의원 재보궐선거에서 당선되었으나, 한국 전쟁 중 납북되었다. 사후 친일 행적이 드러나 건국훈장이 취소되었고,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규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국대학교 총장 - 김희옥
김희옥은 검사 출신 법조인으로서 법무부 차관과 헌법재판소 재판관을 역임하고 동국대학교 총장,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 위원장, 새누리당 혁신비상대책위원장, KBL 프로농구연맹 총재, 한국프로스포츠협회 회장 등을 지낸 대한민국의 교육자, 스포츠인, 정치인이다. - 동국대학교 총장 - 백성욱
백성욱은 일제강점기 승려이자 독립운동가, 대한민국 정치인으로, 한국인 최초 독일 철학 박사이며 동국대학교 총장과 해방 후 내무부 장관을 역임했다. - 다이쇼 대학 동문 - 후키이시 카즈에
후키이시 카즈에는 1983년 CF 모델로 데뷔, 1996년 아이돌 그룹 활동 후 1997년 배우와 가수로 정식 데뷔하여 다양한 작품에 출연하며 활동했으며, 2015년 후쿠야마 마사하루와 결혼한 일본 배우이자 가수이다. - 다이쇼 대학 동문 - 성정
성정은 중국에서 태어나 대만에서 입적한 불교 학자이자 승려로, 인간 불교를 주창하며 불교 현대화와 대중화, 사회 문제 해결에 힘썼고 자제회 설립에 기여했으며, 불교 부흥 공로로 경운보성훈장을 수훈했다. - 일제강점기의 승려 - 한용운
한용운은 충청남도 홍성 출신의 승려이자 시인, 독립운동가로, 3.1 운동에 참여하여 독립선언서에 서명하고 불교 혁신과 민족 독립을 위해 헌신했으며, 시집 《님의 침묵》을 통해 저항 문학을 대표했다. - 일제강점기의 승려 - 학눌
학눌은 평양 출신으로 일본 유학 후 법관으로 활동하다가 승려가 되어 금강산 신계사에서 출가하여 대한불교조계종 종정 등을 역임하고 1966년 입적하였다.
허영호 (정치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허영호 |
한글 | 허영호 |
한자 | 許永鎬 |
가나 | ホ・ヨンホ |
인물 정보 | |
출생일 | 1900년 12월 21일 |
출생지 | 대한제국 경상남도 부산 |
사망일 | 1952년 1월 30일 |
본관 | 김해(金海) |
국적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의원 선수 | 1 |
정치 활동 | |
의원 대수 | 1 |
경력 | 한국민주당 당무위원(1945년) 동국대학교 총장(1946년) 무소속 국회의원(1949년) |
정당 | 무소속 |
학력 | |
학력 | 범어사 명정학교(1922년) 일본 도요 大 동양학과(1927년) 일본 다이쇼 大 불교학과(1932년) |
기타 정보 | |
종교 | 불교 |
직업 | 불교 승려 겸 정치인 |
웹사이트 | 헌정회 허영호 독립유공자 허영호 - (만료) |
2. 생애
동래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하고 범어사 산하 명정학교(明正學校)에 입학하였다. 1919년 3·1 운동에 참여하여 징역 1년을 선고받고 복역했다.
출소 후, 1920년 8월 1일부터 10월 1일까지 《평범(平凡)》의 편집국장 겸 발행부장으로 잠시 활동했다. 1927년 일본 도요 대학교 동양학과를 졸업하고 귀국하여 신간회 경상남도 동래지회에서 활동하다 1928년 다시 일본으로 건너갔다. 1930년 재일본조선불교청년회 서무부 간사를 역임했고, 1932년 다이쇼 대학 불교학과를 졸업했다.
1932년부터 1937년까지 중앙불교전문학교 교수 겸 학감, 불교개선심의회 상무위원, 조선불교교정연구회 발기인 및 연구부장, 중앙불교전문학교 교우회 총무, 경남3본산종무협회 의안심사위원, 총본산건설기초위원, 《불교 신》 편집 겸 발행인, 해동역경원 주임역경사 등을 역임했다.
중일전쟁 발발 무렵부터 친일파로 전향하여 침략 전쟁과 대동아공영권을 옹호했다. 1938년 1월부터 1945년 8월 광복 때까지 재단법인 조선불교중앙교무원 평의원, 재무국장, 상무이사, 이사장, 재단법인 조계학원 이사장 직위를 역임했으며, 1938년 10월 2일 조선불교청년총동맹 경성연합 중앙집행위원, 1941년 5월 국민총력조선연맹 평의원으로 위촉되었다. 1941년 9월 9일부터 광복 때까지 조선불교조계종 종정 사서(司書)를 역임했고, 같은 해 대본산 범어사 불교신체제운동 특별위원을 역임했다. 1942년 9월 2일부터 9월 12일까지 조선불교협회가 주최한 불교순회강연회에서 평안도 일대를 순회하면서 '대동아 전쟁과 일본의 사명'을 주제로 강연했다. 1943년 4월 7일 불교문화보급회 발기인으로 위촉되었으며, 같은 해 11월 16일부터 11월 17일까지 육군특별지원병 사기양양 대강연회 강연을 열었다.
해방 후 1945년 9월부터 1946년 9월까지 서울 혜화전문학교(惠化專門學校) 교장을 역임했으며, 1946년 9월부터 1948년 11월까지 동국대학 학장(현재의 동국대학교 총장)을 역임했다. 건국준비위원회 개최를 위한 집회에 참가하여 사회 활동을 재개했고, 1946년 1월 반탁국민총동원위원회 중앙상무위원회 위원에 임명되었다.
1949년 1월 13일에 실시된 제헌 국회의원 경상남도 부산부 갑 선거구 재보궐선거에서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당선되었지만, 한국 전쟁 중이던 1950년 7월 13일에 납북되었다. 납북 이후, 1956년 7월 재북평화통일촉진협의회에 참석했고, 1958년 12월경 함경북도의 농장으로 이주했다. 이후 행방불명되었으나, 1952년 1월 30일에 사망했다는 설도 있다. 현지의 “재북인사의 묘”에 매장되어 있다고 한다.
2. 1. 독립운동 참여와 투옥 (1919년)
범어사 산하 명정학교(明正學校)에 입학하였다. 1919년 3월 18일 3·1 운동 당시 동래 장터에서 일어난 범어사 독립 만세 운동에 가담하여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징역 1년을 선고받고 복역했다.[2]2. 2. 일본 유학과 귀국 후 활동 (1920년대 ~ 1930년대 초)
1919년 3·1 운동 당시 동래 장터에서 일어난 범어사 독립 만세 운동에 가담했다가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징역 1년을 선고받고 복역했다.[2] 출옥 후 일본 유학을 거쳐 조선에 돌아와 강연 활동을 했다.[1]1920년 8월 1일부터 같은 해 10월 1일까지 《평범(平凡)》의 편집국장 겸 발행부장으로 참여했다.[2] 1925년 11월에는 동래청년연맹 창립준비위원·창립위원, 이후 동연맹 대표로 활동했다. 1926년 8월에는 동래청년회 서무부 위원장에 임명되었고, 같은 해 10월에는 동래면의 시구 개정 변경 문제에서 청년회 임원으로 반대 운동 실행위원을 역임했다. 또한 같은 해 8월에는 동래 지역 유일의 문예잡지사인 평범사를 창립하고 월간 문예잡지 『평범』을 발간했다.[1]
1927년 일본 도요 대학교 동양학과를 졸업했다.[2] 귀국 후 신간회 경상남도 동래지회에서 활동한 후 1928년 다시 일본으로 건너갔다.[2] 1928년 2월 26일, 동래청년회가 해체되고 동래청년동맹이 창립되자 실행위원으로 선출되었다. 같은 해 4월, 신간회 동래지회 선거위원·본부 대표위원·정치문화부 총간사를 역임하며 언론·출판·결사의 자유 금지 문제, 의무교육 문제, 재만 동포 생존권 문제의 해결 방안 등을 적극적으로 제기했다. 1928년 5월 29일, 조선청년총동맹 경남도연맹대회 집행부 부의장으로 선임되어 강연 활동 등을 하며 부산 지역 사회운동의 중심 인물이 되었다. 그러나 신간회 검거 이후 1930년 다시 일본으로 유학을 가 다이세이 대학 불교학과에 입학했다.[1]
이후 김법린을 중심으로 한 항일 비밀 결사인 “만자당”에서 활동하며 강연 활동 외에도 조선 유학생 동창회 회장, 재일 조선청년회 서무부 간사, 유학생 학우회 확대 집행위원 등을 역임했다. 1932년 3월 졸업하고 귀국하여 불교학 연구를 하고 불교 단체에서 활동했다. 다이세이 대학 재학 중 불교학 관련 근대 지식을 습득했기에 조선불교계의 현안 문제와 불교 근대화를 위해 다양한 활동을 모색했다. 1932년부터 1937년까지 중앙불교전문학교 교수 겸 학감, 불교개선심의회 상무위원, 조선불교교정연구회 발기인, 연구부장, 중앙불교전문학교 교우회 총무 등을 역임했다.[1][2]
2. 3. 불교계 활동과 친일 행적 (1930년대 초 ~ 1945년)
1930년 재일본조선불교청년회 서무부 간사를 역임했고, 1932년 일본 다이쇼 대학 불교학과를 졸업했다. 같은 해부터 1937년까지 중앙불교전문학교 교수 겸 학감, 불교개선심의회 상무위원, 조선불교교정연구회 발기인 및 연구부장, 중앙불교전문학교 교우회 총무, 경남3본산종무협회 의안심사위원, 총본산건설기초위원, 《불교 신》 편집 겸 발행인, 해동역경원 주임역경사 등을 역임했다.[1]1938년 1월부터 1945년 8월 15일 광복 때까지 재단법인 조선불교중앙교무원 평의원, 재무국장, 상무이사, 이사장, 재단법인 조계학원 이사장 직위를 역임했으며, 1938년 10월 2일 조선불교청년총동맹 경성연합 중앙집행위원, 1941년 5월 국민총력조선연맹 평의원으로 위촉되었다.[1] 1941년 9월 9일부터 광복 때까지 조선불교조계종 종정 사서(司書)를 역임했고, 같은 해 대본산 범어사 불교신체제운동 특별위원을 역임했다. 1942년 9월 2일부터 9월 12일까지 조선불교협회가 주최한 불교순회강연회에서 평안도 일대를 순회하면서 '대동아 전쟁과 일본의 사명'을 주제로 강연했다. 1943년 4월 7일 불교문화보급회 발기인으로 위촉되었으며, 같은 해 11월 16일부터 11월 17일까지 육군특별지원병 사기양양 대강연회 강연을 열었다.[1] 이러한 친일 행적으로 인해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규정되었다.[1]
2. 4. 해방 이후 활동과 납북 (1945년 ~ 1950년)
1945년 9월부터 1946년 9월까지 서울 혜화전문학교(惠化專門學校) 교장을 역임했으며, 1946년 9월부터 1948년 11월까지 동국대학 학장(현재의 동국대학교 총장)을 역임했다.[1] 건국준비위원회 개최를 위한 집회에 참가하여 사회 활동을 재개했고, 1946년 1월 반탁국민총동원위원회 중앙상무위원회 위원에 임명되었다.[1]1949년 1월 13일에 실시된 제헌 국회의원 경상남도 부산부 갑 선거구 재보궐선거에서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당선되었지만,[1] 한국 전쟁 중이던 1950년 7월 13일에 을지로 입구에서 북한측 관계자들에게 납치되었다.[3] 같은 날 국립도서관(현·국립중앙도서관)으로 연행되었고, 같은 달 17일경 도보 또는 열차로 어딘가로 이송된 것으로 추정된다.[3] 납북 이후, 1956년 7월 재북평화통일촉진협의회에 참석했고,[4] 1958년 12월경 함경북도의 농장으로 이주했다.[5] 이후 행방불명되었으나, 1952년 1월 30일에 사망했다는 설도 있다.[1][6] 현지의 “재북인사의 묘”에 매장되어 있다고 한다.
3. 사후 평가 및 논란
1990년 대한민국 정부는 허영호에게 3·1 운동 참가 이력을 근거로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했다. 하지만 2010년 대한민국 국가보훈처는 그의 친일 행적을 확인하고 서훈을 취소했다. 허영호는 친일파 708인 명단 기타 부문,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종교 부문,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 포함되었다.[1]
4. 역대 선거 결과
참조
[1]
웹사이트
허영호(許永鎬)
https://encykorea.ak[...]
2023-10-05
[2]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rokps.or.kr/[...]
2023-10-05
[3]
웹사이트
1578.허영호 - 6·25전쟁납북인사가족협의회
http://www.kwafu.org[...]
2023-10-05
[4]
서적
現代朝鮮人名辞典 1962年版
世界ジャーナル社
1962-08-01
[5]
웹사이트
북한총람 중 납북인사명단(4)-아자차하 - 6·25전쟁납북인사가족협의회
http://www.kwafu.org[...]
2023-10-05
[6]
웹사이트
62기 중 안재홍 이광수 김효석 조헌영...등 좌우 인사 39명 묘소 최초 공개
http://www.minjog21.[...]
2007-10-06
[7]
뉴스
평양룡성구역 '재북인사들의 묘'를 가다 - 62기 중 안재홍 이광수 김효석 조헌영...등 좌우 인사 39명 묘소 최초 공개
http://www.minjog21.[...]
민족21
2004-05-01
[8]
일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